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금호석유우 배당금
- 주식
- 상폐 빔
- 현대홈쇼핑 주가 전망
- 주가 전망
-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배경
- 현대엔 솔 주가 전망
- BLDE
- 현대홈쇼핑 배당금
- 대체유 관련 주식
- 아마존 구글 액면분할
- 예대마진 공시
- 현대 에너지 주가
- 아마존 구글 액면분할 일정
- 예대마진 의미
- 버블과 주가 전망
- 이마트 마케팅
- 롯데엔터테인먼트 관련주
- 국내 분기 배당주 정리
- 중국 문화대혁명
- 배양육 시장
- OCI 주가 전망
- 현대에너지 주식
- 리얼티 인컴 주식
- 이마트 주식 전망
- 블레이드 주가
-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 아마존 구글 주가 전망
- 탑건2 관련 주식
- 현대홈쇼핑 주가
- Today
- Total
주식, 코스피, 배당금, 주가 전망
국내 분기 배당주 정리(삼성전자, 포스코, sk텔레콤, 신한지주) 본문
국내 분기 배당주 정리(삼성전자, 포스코, sk텔레콤, 신한지주)
미국 주식과는 다르게 국내 기업들은 주주환원에 인색한 편입니다. 최근 ESG 경영이 떠오르면서 배당 친화적인 정책을 내놓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해 보이는 게 사실인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주주친화적인 분기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내 분기배당주 정리
배당에서 중요한 건 배당금 상승도 있지만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간에 배당을 중단했던 기업은 다음에도 이런저런 이유로 지급을 안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배당주 선택 시 연속으로 배당을 지급한 기업 위주로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소 5년은 연속 지급한 기업을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국내 주식 상황에 맞춰서 최소 3년 연속 지급한 회사는 배당 안정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첫 번째는 대표적인 국내 분기 배당주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는 12년도부터 배당을 실시했었습니다. 12년 ~ 16년도까지는 연 2회 배당을 지급했었습니다. 첫 분기 배당은 17년부터 시작했으며 최신인 22년 1분기까지 연속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연속 분기 배당 횟수는 21회로 국내 분기 배당 주중에서 가장 높은 횟수입니다. 기업이 튼튼한 만큼 배당을 중지한 이력이 없는데요. 최근엔 6만 원 대까지 주가가 하락했지만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안 정성하면 삼성전자라고 생각합니다. 미래를 생각하면 배당금과 주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포스코 홀딩스
포스코는 1993년부터 배당을 실시한 유서 깊은 기업입니다. 16년도까진 결산, 중간 배당을 실시하다가 삼전처럼 17년부터 분기 배당으로 전환했습니다. 21분기 연속으로 배당을 하고 있으며 지난 1분기 배당금은 4000원이었습니다. 보통 배당 수익률은 3~4% 정도였는데 작년에만 6%의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실적도 잘 나오고 있고 그 바탕으로 배당도 주고 있기 때문에 배당주로는 괜찮은 옵션이라고 생각합니다.
SK텔레콤
SK텔레콤은 21년 2분기부터 분기 배당을 실시했습니다. SKT도 포스코처럼 예전부터 배당금 지급을 했었으며 그전에는 중간 배당을 지급했었습니다. 분기 배당을 시작한 지 막 1년이 되었지만 전망은 괜찮아 보입니다. 통신 쪽은 핸드폰이 없어지지 않는 이상 꾸준히 매출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안정성 면에서는 이보다 좋은 게 없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업계 1위는 KT 지만 경직되어 있는 KT와는 다르게 SK텔레콤은 유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서 미래 전망도 좋아 보이고 SK그룹이 주주친화 정책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배당주로 매력은 좋아 보입니다.
신한지주
신한지주도 SK텔레콤과 마찬가지로 작년 2분기부터 분기 배당을 실시했습니다. 그전에는 결산배당금을 지급했었습니다. SKT와 비슷한 이유로 인해 배당주로 좋게 보고 있습니다. 은행 주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배당금도 무리 없이 지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가는 큰 변동이 없이 흘러가지만 안정적으로 배당을 받으며 들고 가기에 좋다고 보입니다.
그 외
위에 소개한 배당주 이외에 KB금융지주, CJ제일제당, SK하이닉스 같은 대기업들이 분기 배당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세 기업 다 배당주로도 미래 전망으로도 충분히 메리트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배당주에 관심 있는 분들은 살펴보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물론 미국 주식처럼 10년 후를 보겠다는 마인드보다는 3~5년 정도 들고 가면서 쏠쏠하게 배당도 받겠다는 마인드로 접근하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주식, 코스피, 배당금, 주가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블경제,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플라자 합의) (0) | 2022.06.28 |
---|---|
FOMC 금리인상, 경기침체로 인한 하락장 대응과 코스피전망 (0) | 2022.06.27 |
예대마진 의미 알아보기, 정말 1개월 단위로 공시한다면? (0) | 2022.06.27 |
현대홈쇼핑 배당금 입금 주가는 도대체 언제 회복할까 (0) | 2022.06.27 |
주식과 코인에서 말하는 상폐 빔이란? (+상장폐지 정리매매) (1) | 2022.06.26 |